-
목차
나당스의 배려 윤리에 대해 배워보고 나당스 배려 윤리의 배경과 교육 방법 그리고 시사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나당스의 배려 윤리
나당스의 배려 윤리는 전통적으로 남성에 평된 정의의 윤리에 대항하여 길리건에 의해 제기된 따뜻한 배려의 윤리를 더욱 명료화하여 배려의 윤리를 발달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도덕교육의 방법을 우리에게 제시하였습니다. 나당스는 배려에 대해 윤리학적 토대를 노하으면서 이를 도덕교육적으로 실행하는데 필요한 이론과 실제까지 제공하였습니다. 도덕교육의 방법과 관련하여 그녀는 배려의 공동체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배려 윤리의 관점에서 학교를 따뜻한 배려의 공동체로 만들기 위해 교사는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도덕교육의 4가지 구성요소인 모델링, 대화, 실천, 확증을 고양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배려 윤리 배경
인격 교육론과 인지발달이론 간의 지속적인 이론적 대립과 더불어 배려의 윤리학이 도덕교육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으로 등장하였습니다. 배려 윤리는 인간 사이의 상호 의존성과 연결, 관계성 등을 중시하며 서로가 서로에게 관심을 가지고 따뜻하게 보살피며 책임 있게 반응하는 자세를 강조하였습니다. 이러한 배려 윤리는 이기주의와 개인주의가 만연되어 서로의 이익과 권리만을 주장하는 오늘날의 우리 사회에서 진적한 도덕적 삶이란 무엇인지를 보여주고자 하는 데 의미가 매우 큽니다.
나당스의 배려 윤리 교육방법
1. 모델링 : 배려자로서의 교사는 피배려자인 학생들과의 관계 속에서 단지 배려하라고 말할 것이 아니라 배려하는 방법을 보여 주어야 합니다. 즉 배려의 본보기가 되어 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배려의 능력은 배려를 받아본 적절한 경험에 달려있기 때문에 배려를 시범 보여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2. 도덕적 대화 : 나당스는 내용과 형식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대화의 본질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형식적 측면에서 도덕적 대화는 교환보다는 대화의 상대방을 서로 격려해 주고, 도와주며 인도해 주게 됩니다. 내용적인 측면에서 도덕적 대화는 도덕적 문제들을 아주 개방적인 방식으로 토의하는 것입니다. 사랑, 두려움, 성, 살인, 희망 등 모든 주제들이 개방적인 방식으로 논의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한편 대화에서 대인관계적 추론이 핵심적 위치를 차지하게 되는데 이는 대화의 상대방에 대해 깊은 관심을 기울이며 어떤 고정된 하나의 목표를 지니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토론에서 이기적인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만족을 줄 수 있는 방식에서 주어진 문제를 통해 함께 활동한다는 사실 그 자체를 중요시합니다.
3. 실천기회 부여 : 실천기회의 부여를 위해 가장 대표적 활동은 바로 다양한 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학교가 봉사활동을 정규 교육과정으로 채택할 것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는 봉사활동을 권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봉사활동의 영역과 관련하여 그녀는 직접적인 활동 기회와 간접적인 활동 기회를 통하여 따뜻한 배려를 위한 실천 기회가 부여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습니다.
4. 확증 : 확증이란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을 신뢰하는 것으로 아동의 가장 좋은 점을 확인하고 격려해 주는 것입니다. 교사는 학생들을 평가함 있어서 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최상의 동기를 강화시켜 주는 활동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평가 방식에 있어 객관성이 평가 방식 대신 학생 상호 간의 평가 그리고 교사에 의한 주관적 평가 방식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나당스 배려윤리의 시사점
- 교사의 역할로서 따뜻한 배려자의 중요성을 우리에게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강한 지시자가 아닌 전통적인 교사의 역할이었던 도덕적 창조자로서 나와 너의 인격적 만남이 될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 학교 전체가 하나의 따뜻한 배려의 공동체가 될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교실과 학교에 하나의 공동체를 만들어 내는 것은 도덕교육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전략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규율과 사랑, 예의와 존경, 우애와 신의, 협동과 경쟁 등으로 하나의 응집력 있는 도덕 공동체가 되어야 합니다.
- 도덕교육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실천기회 부여를 중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도덕 공동체 속에서 형성된 숙고와 행동으로서의 좋은 습관을 지니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행동의 실천 기회들을 다양하게 부여해 주어야 합니다.
1973년 도덕이 독립 교과로 등장한 이후 도덕교육은 지나치게 인지발달이론에 근거하는 경향을 보여왔습니다. 많은 교사들은 도덕과 수업에 직접적으로 도덕적 행동을 가르치는 것이 불가능하기에 도덕과 수업은 도덕적 문제를 바라보고 조적적 문제를 논의하며 도덕적 결정을 내리는 지적인 훈련 과정에 국한된다는 잘못된 인식을 가져오기도 하였습니다. 도덕교육 이론은 어떤 한 이론에 배타적으로 연루되어 추진되기보다는 다양한 부분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모자이크에 바탕을 두고 추진되어야 하기 때문에 통합적 도덕교육은 우리의 도덕교육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습니다.
오늘은 나당스의 배려 윤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나당스의 배려 윤리 배경과 교육 방법 및 시사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우리 교육현장에서 도덕교육이 자연스럽게 녹아내도록 하기 위해서는 나당스의 배려 윤리에서 강조하는 4가지 모델링, 도덕적 대화, 실천기회 부여, 확증을 통해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도덕적 판단을 내리고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롤의 학교학습 모형과 학습의 정도 그리고 완전학습 모형과 교육적 시사점 (0) 2024.04.17 성격의 정의와 성격 이론의 종류 그리고 에릭슨의 성격발달단계와 교육적 지도 방안 (1) 2024.04.15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기본 입장과 연구과정 그리고 발달단계와 교육적 적용 (0) 2024.04.09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관점과 인지발달의 구성요소 근접 발달 영역과 비계 설정 (0) 2024.04.08 피아제의 이론의 기본 입장과 인지발달단계 그리고 교육적 시사점 (1) 2024.04.03